하플로그룹(Haplogroup)은 분자진화 연구에서의 단상형 유전자(haplotype, Greek: απλούς, haploûs, "onefold, single, simple")들의 큰 집단으로 염색체의 특정 위치에 있는 일련의 대립유전자들이다.
인류 유전학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하플로그룹은 Y 염색체 DNA 하플로그룹과 미토콘드리아 DNA(mtDNA) 하플로그룹으로, 유전 집단을 정의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Y-DNA는 부계를 통해서만, mtDNA는 모계를 통해서만 전달된다.
위 내용은 위키백과에 있는 하플로그룹의 정의 입니다.
모든 분자들은 조상형 하플로그룹의 일부이다. 그러나 어떤 시점에 돌연변이 A가 조상의 분자에서 나타나고, 새로운 계통이 만들어진다. 이것이 하플로그룹 A가 되고, 돌연변이 A에 의해 정의된다. 더 최근 시점의 과거에, 하플로그룹 A에 포함되는 사람에서 새로운 돌연변이 B가 나타나며 하플로그룹 B로 정의된다. 하플로그룹 B는 하플로그룹 A의 하위그룹 또는 하위계통이다. 하플로그룹 A와 B는 모두 조상형 하플로그룹의 하위계통이다. (Hg=Haplogroup)
같은 하플로타입을 가지면 같은 공통 조상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개인의 SNP 변이를 조사했을 때 같은 하플로타입으로 조사된다면 같은 조상의 후손이라는 의미입니다. 하플로그룹은 Y염색체의 하플로그룹과 mtDNA 하플로그룹 두 가지를 많이 연구합니다. 위 위키백과의 정의에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Y염색체 하플로그룹이 동일하면 동일 부계 혈통이라는 의미이며, 같은 mtDNA 하플로그룹에 속하면 동일한 모계 혈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플로그룹을 이용한 혈통 분류는 큰 그룹으로 나눈 것이기 때문에 (같은 하플로그룹의 조상은 수천년~수만년 전에 형성됨), 같은 집안 사람끼리 동일한 하플로그룹에 속할 수는 있지만, 같은 하플로그룹을 갖는다고 하여서 같은 집안이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아직까지는 하플로그룹만으로 이처럼 세부적인 구분이 힘들지만, 민족(집단)을 구성하는 하플로그룹은 집단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하플로그룹을 조사함으로써 어떤 민족(집단)인지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집단의 기원, 인류의 이동경로 (Genographic project)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을 기반으로 조사된 인류의 이동경로 (FT-DNA)
Y염색체 하플로그룹을 기반으로 조사된 인류의 이동경로 (FT-DNA)
- 자료 출처 :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하플로그룹),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Haplogroup), FT-DNA (http://www.familytreedna.com/)
- 이 글은
'예전 글 모음 > 생물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 D-statistics (0) | 2011.04.10 |
---|---|
[생물정보학] 집단유전학 분석 소프트웨어 PowerMarker 에 대한 소개 (3) | 2011.04.10 |
[유전] DNA 프로파일링 (DNA profiling) - 유전자 검사를 통한 개인식별, 친자확인 (0) | 2011.04.02 |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 (Bioinformatics) (0) | 2011.04.02 |
생명과학 (0) | 201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