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농장과 퇴비처리소 근처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항생제 저항성 감염에 좀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돼지 농장근처 또는 농업퇴비로 비료를 만드는 곳 근처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메티실린 내성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박테리아에 감염될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최근 학술지 <JAMA Internal Medicine>지에 발표된 논문에서 주장했다. 이전 연구에서 가축을 키우는 사람들은 이 MRSA보균의 위험이 일반인들보다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Smith, T. C. et al. 2013). 하지만 MRSA의 가축을 통한 확산이 대중들에 대한 위험을 증대시키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이번 연구는 돼지농장에서 퇴비를 가지고 퇴비처리 규정에 따라 작물에 뿌리는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감염에 대해서 조사했다. 연구자들은 2005년에서 2010년 사이에 펜실베이니아 주의 가이싱거 보건시스템 (Geisinger Health System)을 통해서 의료적인 도움을 찾았던 환자들의 전자 보건기록을 조사했다.
이 연구팀은 1,539명의 환자가 감염된 공동체 연관 MRS (CA-MRSA)의 발병사례와 1,335명의 환자가 발생한 보건케어 연관 MRSA (HA-MRSA)의 두 가지 MRSA 형태를 분석했다. 이 두 가지 경우는 어디에서 환자들이 이 질병에 감염되었는지와 연관될 뿐 아니라 박테리아의 유전적 계통과도 연관되지만 이러한 구분은 환자가 MRSA에 감염되어서 병원에 왔는지 아니면 병원에서 감염되어 나갔는지에 대한 구분이 불분명하다). 그리고 연구자들은 이들 환자들이 돼지 농장 주변에 살고 있는지 아니면, 돼지 퇴비를 뿌린 곳 주변에 살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과학자들은 이들이 얼마나 가까이 돼지농장에 살고 있는가를 계산했으며, 얼마나 농장의 규모가 큰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퇴비가 사용되었는지를 계산해서 얻은 퇴비에 가장 높이 노출된 사람들은 CA-MRSA에 감염된 사람들보다 38% 정도 더 많이 감염될 가능성이 있으며, HA-MRSA에 감염된 사람들보다 30% 정도 저 많이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또한 2012년에 동일한 보건케어 시스템에 등록된 환자들에게서 얻은 200종의 피부, 혈액 및 타액 샘플을 분석했다. 이들 샘플에서 발견된 MRSA 계통은 인간에게서 일상적으로 발견되는 계통이었다. 연구자들은 많은 이전 연구에서 농장과 농장일꾼들에게서 발견되고 가축과 전형적으로 연관되는 군집군 398 (clonal complex 398, CC398)에 속하는 박테리아라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미국 농장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MRSA 계통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그래서 CC398의 부재는 이 MRSA가 가축에서 인간으로 전이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번 연구에는 참여하지 않았던 오하이오주의 켄트 주립대학 (Kent State University)의 미생물학자인 타라 스미스 (Tara Smith)는 “아이오와에서 우리는 연구를 수행했다. 하지만 우리는 항상 CC398을 발견한 것은 아니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많은 연구자들은 농장동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 항생제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이 MRSA와 다른 약물저항성 박테리아의 확산을 일으키고 있다고 생각한다. 최근 연구결과는 퇴비가 항생제 저항성을 확산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인 존스 홉킨스 블룸버그 공공보건대학 (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의 환경보건과학자인 조안 케이시 (Joan Casey)는 주장했다. 그녀는 “우리는 확실히 이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그 과정의 모든 단계를 묘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일리노이 주의 시카고 대학 (University of Chicago)의 MRSA 연구센터의 수석연구원이며 소아과 학자인 로버트 다움 (Robert Daum)은 “이번 연구는 상당히 흥미롭고 논란이 될 수 있는 관찰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다른 지리학적 지역에서 유사한 연구결과를 기다리고 있으며 돼지 퇴비의 MRSA 계통이 인간에게 감염된 MRSA 계통과 유사하다는 점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케이시는 이 지역에서 가장 일상적으로 발견되는 MRSA 계통에 대한 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출처: <네이처> 2013년 9월 16일 (Nature doi:10.1038/nature.2013.13752)
원문참조:
Casey, J. A., Curriero, F. C., Cosgrove S. E., Nachman, K. E. & Schwartz, B. S. JAMA Intern. Med.
http://dx.doi.org/10.1001/jamainternmed/2013.10408 (2013).
Smith, T. C. et al. PLoS ONE 8, e63704 (2013).
-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3-09-19
'예전 글 모음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키뉴스] 국립암센터, 암유전체 정보 분석 분야의 실용화 선도 (0) | 2013.09.24 |
---|---|
[MiriAn] 항우울제가 보다 빨리 효과를 내게 만드는 분자 경로를 발견 (0) | 2013.09.21 |
[MiriAn] 캘리포니아대-새로운 네트워크기반 유전자계층화 기법 개발로 맞춤 항암치료 한 발 더 가까이 (0) | 2013.09.21 |
[KISTI 과학향기] 특별한 자폐증, 서번트 증후군 (0) | 2013.09.18 |
[동아사이언스] '뚝딱뚝딱' 손상된 DNA 치료방법 나왔다 (0) | 201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