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12. 6. 18:15

비만이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포함한 악성 전립선암 남성의 예후와 연관이 있다고 한다. 이번 결과는 하버드공중보건학교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HSPH), 다나-파버암연구소(Dana-Farber Cancer Institute)와 브리검여성병원(Brigham and Women`s Hospital) 연구진이 이끈 새로운 연구에서 밝혀졌다. 
돌연변이를 가진 종양의 전립선암 환자 중 정상 체중 남성과 비교해 비만 또는 과체중인 경우 50% 이상의 사망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남성의 경우 비만과 암 생존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았다. 이것은 전립선암 환자에서 비만, 종양 유전학과 암 특이적 생존 간의 관계를 처음으로 밝힌 연구라 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2013년 11월30일 `국립암연구소저널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에 온라인 게재되었다. 

"10만명 이상의 미국 남성이 전립선암으로 진단 받고 있으며 이들은 공통된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다. 남성 중에 비만이 흔한 것을 고려할 때 비만과 연관 있는 치명적인 전립선암 위험성은 상당히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라 할 수 있다"고 HSPH의 역학 부교수이자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로렐레이 무찌(Lorelei Mucci)는 말했다. 

전립선암은 폐암 다음으로 두 번째 남성 암 사망 요인이다. 2013년 미국에서 약 23만8천 명의 남성이 전립선암으로 진단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 연구들은 과체중 혹은 비만인 남성이-미국 성인 남성 인구 중 거의 3분의 2에 해당함- 정상 체중인 남성보다 전립선암 진단 후 더 나쁜 예후를 가질 것임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어떻게 비만이 전립선암과 연관이 있으며 특정 환자가 비만 효과에 더 민감한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전 (前) HSPH 박사후 연구원이자 현재 HSPH 역학 방문 학자이며, 이번 논문의 제1저자인 안드레아 페터슨(Andreas Pettersson), 무찌 교수, 다나-파버의 마시모 로다(Massimo Loda)와 동료 연구진은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BMI), 허리둘레와 호르몬 조절을 받는 유전자의 돌연변이 마커인 TMPRSS2:ERG를 1,243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 참가자는 내과의사 건강연구와 건강 전문 추적 연구에서 1982년과 2005년 사이에 전립선암으로 진단 받은 사람들이다. 13년간의 추적기간 동안 119명의 남성이 치명적인 형태의 암으로 진행되었다. 

전립선암 남성 두 명 중 한 명은 흔한 유전자 돌연변이인 TMPRSS2:ERG에 대해 양성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진은 전립선암 남성들이 이러한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중 정상 체중인 남성에 비해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경우 진단 후 50% 이상의 높은 사망 위험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효과는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비만을 고려했을 때 훨씬 강력했다. 반대로 유전적 돌연변이 음성인 남성의 경우 비만이 암 생존에 미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은 암 진행을 촉진시키는 인슐린과 성장 호르몬을 포함하여 몇 가지 호르몬 수치가 더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 저자들은 처음으로 TMPRSS2:ERG 유전적 돌연변이를 가진 전립선암 남성이 또한 인슐린과 성장 호르몬 수용체 수치가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유전적 돌연변이를 가진 전립선암 남성이 왜 비만 효과에 더 민감한지를 설명할지 모른다. "이번 연구 결과는 비만을 전립선암 예후에 연결하는 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공중 보건 관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은 변함 없다: 즉 유전적 변이 유무에 관계없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전립선암 환자는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살을 빼야 한다는 것"이라고 페터슨은 말했다. 
사진. 전립선암 단층촬영 이미지 (출처. http://www.hsph.harvard.edu/news/press-releases/lethal-prostate-cancer-a-risk-for-overweight-patients/) 

참고 문헌: "Modific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Lethal Prostate Cancer by TMPRSS2:ERG," Andreas Pettersson, Rosina T. Lis, Allison Meisner, Richard Flavin, Edward C. Stack, Michelangelo Fiorentino, Stephen Finn, Rebecca E. Graff, Kathryn L. Penney, Jennifer R. Rider, Elizabeth J. Nuttall, Neil E. Martin, Howard D. Sasso, Michael Pollak, Meir J. Stampfer, Philip W. Kantoff, Edward L. Giovannucci, Massimo Loda, Lorelei A. Mucci,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online Nov. 30, 2013 




-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3-12-06


Posted by 토리군